1. 바지락 학명
- Ruditapes philippinarum
2. 바지락 분류
동물계 / 연체동물문 / 이매패강 / 백합목 / 백합과 / Venerupis속 / 바지락
동물계 / 연체동물문 / 이매패강 / 백합목 / 백합과 / Venerupis속 / 바지락
* 바지락 종류
-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바지락은 두 종류로, 바지락(Ruditapes philippinarum)과 아기바지락(Ruditapes variegatus)이 있다.
3. 바지락 영어, 일어, 중국어 이름
1) 영어: 숏넥키드클램(Short-necked clam), 리틀넥클램(Little neck clam)
2) 일본어: 아사리(アサリ)
3) 중국어: 황합(黃蛤), 소합(小蛤)
4) 북한: 바스래기
1) 영어: 숏넥키드클램(Short-necked clam), 리틀넥클램(Little neck clam)
2) 일본어: 아사리(アサリ)
3) 중국어: 황합(黃蛤), 소합(小蛤)
4) 북한: 바스래기
4. 바지락 사투리
- 바지라기, 빤지락(동해안), 반지래기(경상남도), 반지락(전라도)
- 바지라기, 빤지락(동해안), 반지래기(경상남도), 반지락(전라도)
5. 바지락 분포 지역
- 자연산 바지락은 한국, 중국, 일본, 필리핀 등 아시아 대륙 북부 동부 연안에 한정적으로 분포한다. 그 외 지역은 1920년대 이후 일본에서 참굴의 이식용 종묘에 섞여서 반출된 바지락에서 유래되었다. 우리나라에서는 서해안과 남해안 지역(여수, 고흥, 수언(남양만), 화성, 삽교천, 안면도, 부안, 대천, 서산)에서 주로 채집된다.
- 자연산 바지락은 한국, 중국, 일본, 필리핀 등 아시아 대륙 북부 동부 연안에 한정적으로 분포한다. 그 외 지역은 1920년대 이후 일본에서 참굴의 이식용 종묘에 섞여서 반출된 바지락에서 유래되었다. 우리나라에서는 서해안과 남해안 지역(여수, 고흥, 수언(남양만), 화성, 삽교천, 안면도, 부안, 대천, 서산)에서 주로 채집된다.
6. 바지락 주요 수입국
- 바지락 50%는 수입산이며,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, 러시아, 일본, 미국, 스페인 등이 있다.
7. 바지락 염기 수와 유전자 수
- 약 25억 개의 염기와 1만 5천개의 유전자로 구성되어 있다. (2017년 5월, 우리나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연구팀에서 세계 최초로 밝힘)
[이글루스 업로드 일] 2017-06-23 09:05:29
댓글 없음:
댓글 쓰기